
IMPACTS
시민의 참여가 만들어낸 바다의 회복,우리는 그 변화를 데이터로 증명합니다.

IMPACTS
시민의 참여가 만들어낸 바다의 회복,우리는 그 변화를 데이터로 증명합니다.

IMPACTS
시민의 참여가 만들어낸 바다의 회복,우리는 그 변화를 데이터로 증명합니다.
Covers
We delivered over 250 editorial designs this year
Foam Serum Launch
Bubbly physics + product CGI used across hero, ads, and socials.
Modular Framer Websites
Component-driven builds with responsive grids and subtle motion.
Covers
We delivered over 250 editorial designs this year
Foam Serum Launch
Bubbly physics + product CGI used across hero, ads, and socials.
Modular Framer Websites
Component-driven builds with responsive grids and subtle motion.
Covers
We delivered over 250 editorial designs this year
Foam Serum Launch
Bubbly physics + product CGI used across hero, ads, and socials.
Modular Framer Websites
Component-driven builds with responsive grids and subtle motion.
Covers
We delivered over 250 editorial designs this year
Foam Serum Launch
Bubbly physics + product CGI used across hero, ads, and socials.
Modular Framer Websites
Component-driven builds with responsive grids and subtle motion.
이 숫자들은 바다에서 태어났습니다.
우리가 직접 본, 진짜 변화의 기록입니다.
이 숫자들은 바다에서 태어났습니다. 우리가 직접 본, 진짜 변화의 기록입니다.
이 숫자들은 바다에서 태어났습니다. 우리가 직접 본, 진짜 변화의 기록입니다.

시민의 손으로 만들어낸 변화,
우리는 그 모든 순간을 숫자로 증명합니다.
숫자로 보는 바다의 회복
0
0
복원 면적
사막화된 해역이 시민의 손으로 숲이 되었습니다. 감태, 다시마, 곰피 등 다양한 해조류가 자라며 바다는 다시 탄소를 저장하고 생명을 품는 공간으로 돌아왔습니다. 88헥타르는 축구장 약 120개 면적에 해당하는, 시민 주도 복원 중 최대 규모 중 하나입니다.
0
0
이산화탄소 포집량
시민이 복원한 바다숲이 매년 2,518톤의 이산화탄소를 되돌립니다. 바다숲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확실한 해법임을 보여줍니다. 숲이 자랄수록 바다는 더 깊이 숨을 쉽니다.
0
0
해양폐기물 수거량
바다를 되살리는 첫 걸음은 쓰레기를 걷어내는 일이었습니다. 수중과 해변에서 시민 다이버들이 직접 수거한 80톤의 폐어구와 생활쓰레기는, 다시 해조류가 자라날 수 있는 깨끗한 바다의 토대를 만들었습니다. 정화는 끝이 아니라 복원의 시작입니다.
0
0
시민 참여자 수
773명의 시민이 직접 바다로 들어가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다이버이자 연구자이며, 동시에 해양을 지키는 시민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오션캠퍼스가 단체가 아니라 ‘사람들의 연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0
0
성게 수거량
과밀한 성게는 해조류를 먹어치워 바다를 사막으로 만듭니다. 시민 다이버들이 제거한 55톤의 성게는 단순한 포획이 아니라, 생태계 균형을 되돌리는 과학적 실천이었습니다. 균형이 복원될 때 비로소 바다의 숲이 살아납니다.
0
0
잠수 횟수
시민 다이버들은 1년 중 250일 이상, 총 2,400회 바다로 들어갔습니다. 매번의 잠수는 새로운 해조류를 심고, 성게를 조절하며, 바다의 변화를 기록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지속성’이 곧 복원의 힘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시민의 손으로 만들어낸 변화,
우리는 그 모든 순간을 숫자로 증명합니다.
숫자로 보는
바다의 회복
0
0
복원 면적
사막화된 해역이 시민의 손으로 숲이 되었습니다. 감태, 다시마, 곰피 등 다양한 해조류가 자라며 바다는 다시 탄소를 저장하고 생명을 품는 공간으로 돌아왔습니다. 88헥타르는 축구장 약 120개 면적에 해당하는, 시민 주도 복원 중 최대 규모 중 하나입니다.
0
0
이산화탄소 포집량
시민이 복원한 바다숲이 매년 2,518톤의 이산화탄소를 되돌립니다. 바다숲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확실한 해법임을 보여줍니다. 숲이 자랄수록 바다는 더 깊이 숨을 쉽니다.
0
0
해양폐기물 수거량
바다를 되살리는 첫 걸음은 쓰레기를 걷어내는 일이었습니다. 수중과 해변에서 시민 다이버들이 직접 수거한 80톤의 폐어구와 생활쓰레기는, 다시 해조류가 자라날 수 있는 깨끗한 바다의 토대를 만들었습니다. 정화는 끝이 아니라 복원의 시작입니다.
0
0
시민 참여자 수
773명의 시민이 직접 바다로 들어가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다이버이자 연구자이며, 동시에 해양을 지키는 시민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오션캠퍼스가 단체가 아니라 ‘사람들의 연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0
0
성게 수거량
과밀한 성게는 해조류를 먹어치워 바다를 사막으로 만듭니다. 시민 다이버들이 제거한 55톤의 성게는 단순한 포획이 아니라, 생태계 균형을 되돌리는 과학적 실천이었습니다. 균형이 복원될 때 비로소 바다의 숲이 살아납니다.
0
0
잠수 횟수
시민 다이버들은 1년 중 250일 이상, 총 2,400회 바다로 들어갔습니다. 매번의 잠수는 새로운 해조류를 심고, 성게를 조절하며, 바다의 변화를 기록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지속성’이 곧 복원의 힘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시민의 손으로 만들어낸 변화,
우리는 그 모든 순간을 숫자로 증명합니다.
숫자로 보는 바다의 회복
0
0
복원 면적
사막화된 해역이 시민의 손으로 숲이 되었습니다. 감태, 다시마, 곰피 등 다양한 해조류가 자라며 바다는 다시 탄소를 저장하고 생명을 품는 공간으로 돌아왔습니다. 88헥타르는 축구장 약 120개 면적에 해당하는, 시민 주도 복원 중 최대 규모 중 하나입니다.
0
0
이산화탄소 포집량
시민이 복원한 바다숲이 매년 2,518톤의 이산화탄소를 되돌립니다. 바다숲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확실한 해법임을 보여줍니다. 숲이 자랄수록 바다는 더 깊이 숨을 쉽니다.
0
0
해양폐기물 수거량
바다를 되살리는 첫 걸음은 쓰레기를 걷어내는 일이었습니다. 수중과 해변에서 시민 다이버들이 직접 수거한 80톤의 폐어구와 생활쓰레기는, 다시 해조류가 자라날 수 있는 깨끗한 바다의 토대를 만들었습니다. 정화는 끝이 아니라 복원의 시작입니다.
0
0
시민 참여자 수
773명의 시민이 직접 바다로 들어가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다이버이자 연구자이며, 동시에 해양을 지키는 시민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오션캠퍼스가 단체가 아니라 ‘사람들의 연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줍니다.
0
0
성게 수거량
과밀한 성게는 해조류를 먹어치워 바다를 사막으로 만듭니다. 시민 다이버들이 제거한 55톤의 성게는 단순한 포획이 아니라, 생태계 균형을 되돌리는 과학적 실천이었습니다. 균형이 복원될 때 비로소 바다의 숲이 살아납니다.
0
0
잠수 횟수
시민 다이버들은 1년 중 250일 이상, 총 2,400회 바다로 들어갔습니다. 매번의 잠수는 새로운 해조류를 심고, 성게를 조절하며, 바다의 변화를 기록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이 숫자는 ‘지속성’이 곧 복원의 힘이라는 것을 증명합니다.
한때 생명이 사라졌던 바다는,
이제 시민의 손으로 다시 숲이 되었습니다.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복원 전 사막화된 바다의 모습
수온 상승과 성게 과밀로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입니다. 생명이 머물 수 없던 이곳은 그저 회색의 암반만 남아 있었습니다.
복원 후 다시 살아나는 바다의 모습
이식된 다시마가 뿌리를 내리며 바다가 숲으로 변했습니다. 해양생물이 돌아오고, 생명의 순환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복원 전 사막화된 바다의 모습
수온 상승과 성게 과밀로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입니다. 생명이 머물 수 없던 이곳은 그저 회색의 암반만 남아 있었습니다.
복원 후 다시 살아나는 바다의 모습
이식된 다시마가 뿌리를 내리며 바다가 숲으로 변했습니다. 해양생물이 돌아오고, 생명의 순환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복원 전 사막화된 바다의 모습
수온 상승과 성게 과밀로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입니다. 생명이 머물 수 없던 이곳은 그저 회색의 암반만 남아 있었습니다.
복원 후 다시 살아나는 바다의 모습
이식된 다시마가 뿌리를 내리며 바다가 숲으로 변했습니다. 해양생물이 돌아오고, 생명의 순환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복원 전 사막화된 바다의 모습
수온 상승과 성게 과밀로 해조류가 모두 사라진 바다입니다. 생명이 머물 수 없던 이곳은 그저 회색의 암반만 남아 있었습니다.
복원 후 다시 살아나는 바다의 모습
이식된 다시마가 뿌리를 내리며 바다가 숲으로 변했습니다. 해양생물이 돌아오고, 생명의 순환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한때 생명이 사라졌던 바다는,
이제 시민의 손으로 다시 숲이 되었습니다.
Field
Before
After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Field
Before
After




시민 다이버의 이식 작업 장면
시민 다이버가 직접 줄을 고정하고 해조류를 심기 위해 작업을 하는 모습입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새로운 바다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바다가 변한 이유, 그건
우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숫자 뒤에는 언제나 사람이 있습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바다는 다시 숨을 쉬었습니다.

River.Moon
Member
“내가 심은 해조류가 자라서 물고기가 다시 모이는 걸 봤을 때, 내가 진짜 바다를 바꿀 수 있다는 걸 느꼈어요.”


Guy Hawkins
Founder at GreenFox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Lectus massa sodales at sit aliquet velit ipsum. Elementum turpis enim consequat pharetra iaculis.
바다가 변한 이유, 그건
우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숫자 뒤에는 언제나 사람이 있습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바다는 다시 숨을 쉬었습니다.

River.Moon
Member
“내가 심은 해조류가 자라서 물고기가 다시 모이는 걸 봤을 때, 내가 진짜 바다를 바꿀 수 있다는 걸 느꼈어요.”


Guy Hawkins
Founder at GreenFox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Lectus massa sodales at sit aliquet velit ipsum. Elementum turpis enim consequat pharetra iaculis.
바다가 변한 이유, 그건
우리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숫자 뒤에는 언제나 사람이 있습니다.
그들의 손끝에서, 바다는 다시 숨을 쉬었습니다.

River.Moon
Member
“내가 심은 해조류가 자라서 물고기가 다시 모이는 걸 봤을 때, 내가 진짜 바다를 바꿀 수 있다는 걸 느꼈어요.”


Guy Hawkins
Founder at GreenFox
Lorem ipsum dolor sit amet consectetur. Lectus massa sodales at sit aliquet velit ipsum. Elementum turpis enim consequat pharetra iaculis.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 2025 OCEANCAMPUS. All rights reserved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 2025 OCEANCAMPU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