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EAN CAMPUS

파도 아래, 복원의 10년을 기록합니다.

2019년 첫 잠수에서 시작된 우리의 여정은 이제 해양과학, 시민참여, 그리고 지역연대의 역사로 이어집니다.

OCEAN CAMPUS

파도 아래, 복원의 10년을 기록합니다.

2019년 첫 잠수에서 시작된 우리의 여정은 이제 해양과학, 시민참여, 그리고 지역연대의 역사로 이어집니다.

SINCE 2019

바다에 다시 숨을 불어넣은 순간들

연구와 실천, 다이버와 시민, 그리고 바다가 함께 써 내려간 일곱 해의 기록입니다.

SINCE 2019

바다에 다시 숨을 불어넣은
순간들

연구와 실천, 다이버와 시민, 그리고 바다가 함께 써 내려간 일곱 해의 기록입니다.

SINCE 2019

복원하고, 배우고,
이어갑니다.

연구와 실천, 다이버와 시민, 그리고 바다가 함께 써 내려간 일곱 해의 기록입니다.

바다를 되살린 여정

바다를 되살린 여정

01

2019년

“한 줌의 열정이 바다로 뛰어들다.” 전국 대학생 다이버들이 모여 ‘오션캠퍼스’를 창립했습니다. 150명의 청년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 봉사를 실천하며, 영덕에서 제주까지 6개 지역을 돌며 해양정화활동을 이끌었습니다.

2019년

“한 줌의 열정이 바다로 뛰어들다.” 전국 대학생 다이버들이 모여 ‘오션캠퍼스’를 창립했습니다. 150명의 청년이 바다 속으로 들어가 봉사를 실천하며, 영덕에서 제주까지 6개 지역을 돌며 해양정화활동을 이끌었습니다.

2020년

“매일 바다로 돌아가야 할 이유가 생겼다.” 기후위기로 변해가는 연안을 지키기 위해 1년 동안 90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해양경찰청 ‘바다야 사랑해’ 캠페인에 참여하며, 바다의 변화를 사회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매일 바다로 돌아가야 할 이유가 생겼다.” 기후위기로 변해가는 연안을 지키기 위해 1년 동안 90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해양경찰청 ‘바다야 사랑해’ 캠페인에 참여하며, 바다의 변화를 사회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매일 바다로 돌아가야 할 이유가 생겼다.” 기후위기로 변해가는 연안을 지키기 위해 1년 동안 90회 이상 현장 모니터링을 진행했습니다. 해양경찰청 ‘바다야 사랑해’ 캠페인에 참여하며, 바다의 변화를 사회에 알리기 시작했습니다.

02

03

2021년

“사라진 해조숲, 되살릴 수 있을까?” 갯녹음이 심화된 네 곳에서 성게 개체 수 조절과 해조군락 회복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연구 장비도, 기준도 없었지만, “직접 해보자”는 신념 하나로 바다에 과학을 심었습니다.

2021년

“사라진 해조숲, 되살릴 수 있을까?” 갯녹음이 심화된 네 곳에서 성게 개체 수 조절과 해조군락 회복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연구 장비도, 기준도 없었지만, “직접 해보자”는 신념 하나로 바다에 과학을 심었습니다.

2021년

“사라진 해조숲, 되살릴 수 있을까?” 갯녹음이 심화된 네 곳에서 성게 개체 수 조절과 해조군락 회복 실험을 시작했습니다. 연구 장비도, 기준도 없었지만, “직접 해보자”는 신념 하나로 바다에 과학을 심었습니다.

2022년

“데이터로 증명하는 복원.” 6곳의 바다에서 성게 개체수 조절 실험을 확대하며, 해조류 회복 데이터를 축적했습니다.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과학적 복원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데이터로 증명하는 복원.” 6곳의 바다에서 성게 개체수 조절 실험을 확대하며, 해조류 회복 데이터를 축적했습니다.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과학적 복원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습니다.

2022년

“데이터로 증명하는 복원.” 6곳의 바다에서 성게 개체수 조절 실험을 확대하며, 해조류 회복 데이터를 축적했습니다. 단순한 봉사활동을 넘어, 과학적 복원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했습니다.

04

05

2023년

“쓰레기를 치우던 손이, 생태계를 살리기 시작했다.” 제주와 포항에서 대규모 해양정화 캠페인을 이어가며, 8곳의 바다에서 자연 복원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교육봉사로 다이빙을 배우던 청년들이 이제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2023년

“쓰레기를 치우던 손이, 생태계를 살리기 시작했다.” 제주와 포항에서 대규모 해양정화 캠페인을 이어가며, 8곳의 바다에서 자연 복원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교육봉사로 다이빙을 배우던 청년들이 이제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2023년

“쓰레기를 치우던 손이, 생태계를 살리기 시작했다.” 제주와 포항에서 대규모 해양정화 캠페인을 이어가며, 8곳의 바다에서 자연 복원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교육봉사로 다이빙을 배우던 청년들이 이제 복원의 주체가 되었습니다.

2024년

“작은 실험이 지역의 모델이 되다.” 비영리민간단체, 재단, 기업, 공공기관이 함께한 파트너십의 해. 포항 방석리 바다에 30헥타르 규모의 바다숲이 조성되었고, 이 실험은 하나의 ‘시민 복원 모델’로 인정받았습니다.

2024년

“작은 실험이 지역의 모델이 되다.” 비영리민간단체, 재단, 기업, 공공기관이 함께한 파트너십의 해. 포항 방석리 바다에 30헥타르 규모의 바다숲이 조성되었고, 이 실험은 하나의 ‘시민 복원 모델’로 인정받았습니다.

2024년

“작은 실험이 지역의 모델이 되다.” 비영리민간단체, 재단, 기업, 공공기관이 함께한 파트너십의 해. 포항 방석리 바다에 30헥타르 규모의 바다숲이 조성되었고, 이 실험은 하나의 ‘시민 복원 모델’로 인정받았습니다.

06

07

2025년

“88헥타르의 바다, 시민의 손으로 되살리다.” 울진 직산2리와 포항 방석리에서 총 88헥타르의 바다숲이 복원되었습니다. 과학기관, 시민, 청년, 어민이 함께한 완전한 협력의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오션캠퍼스는 ‘시민이 만든 바다숲’의 시대를 엽니다.

2025년

“88헥타르의 바다, 시민의 손으로 되살리다.” 울진 직산2리와 포항 방석리에서 총 88헥타르의 바다숲이 복원되었습니다. 과학기관, 시민, 청년, 어민이 함께한 완전한 협력의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오션캠퍼스는 ‘시민이 만든 바다숲’의 시대를 엽니다.

2025년

“88헥타르의 바다, 시민의 손으로 되살리다.” 울진 직산2리와 포항 방석리에서 총 88헥타르의 바다숲이 복원되었습니다. 과학기관, 시민, 청년, 어민이 함께한 완전한 협력의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오션캠퍼스는 ‘시민이 만든 바다숲’의 시대를 엽니다.

매달 복원 현장의 이야기와
바다숲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바다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세요

Default image

매달 복원 현장의 이야기와
바다숲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바다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세요

Default image

매달 복원 현장의 이야기와
바다숲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바다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만나세요

Default image

사업 소개

바다숲 복원

해양정화활동

교육 및 캠페인

OC LABS

커뮤니티

동참하기

OC FILMS

OC DASHBOARD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 2025 OCEANCAMPUS. All rights reserved

사업 소개

바다숲 복원

해양정화활동

교육 및 캠페인

OC LABS

커뮤니티

OC FILMS

OC DASHBOARD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사회적협동조합 오션캠퍼스
대표자: 석다현
사업자 등록번호: 728-82-00759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태오
문의: 070-8027-2742

© 2025 OCEANCAMPUS. All rights reserved